사진을 믿거나 믿지 않는 것이 어려운 시대, 사진의 역할을 고민해 온 유다영 작가는 이번 신작을 통해 이미지를 읽는 방식을 실험한다. 작가는 단편 소설의 형식으로 쓴 글과 사진을 병치하여 이미지와 글을 긴밀히 연결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관객의 경험에 따라 이미지와 글의 관계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될 것이다. 하지만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이 실재하는지, 사진 속 풍경이 어디인지를 명확히 파악할 수는 없다. 그렇게 사진과 글, 그리고 관객의 감각이 묶여 작가의 작품은 새로운 상상을 가능케 한다. 여기서 사진은 진실을 증명하거나 결정하는 게 아닌, 또 다른 서사를 확장하는 매개가 된다.
In an era where the authenticity of photographic images is increasingly uncertain, Yu delves into the role of photography itself. Through this exhibition, Yu unveils a new body of work centered on the methodologies of image interpretation. By skillfully juxtaposing photographs and text presented in a short story format, she endeavors to build connections between the visual and the textual. The understanding of these relationships is left to the unique experiences of each viewer. It is unclear whether the characters depicted in the narrative are rooted in actuality or exactly where the landscapes captured in the photographs are located. As such, the synthesis of imagery and text, alongside the perceptions of the audience, amalgamates to generate an entirely new realm of imagination. Here, photography transcends its traditional role as a mere arbiter of truth, instead serving as a conduit for expanding narrative possibilities.
사진을 믿거나 믿지 않는 것이 어려운 시대, 사진의 역할을 고민해 온 유다영 작가는 이번 신작을 통해 이미지를 읽는 방식을 실험한다. 작가는 단편 소설의 형식으로 쓴 글과 사진을 병치하여 이미지와 글을 긴밀히 연결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관객의 경험에 따라 이미지와 글의 관계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될 것이다. 하지만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이 실재하는지, 사진 속 풍경이 어디인지를 명확히 파악할 수는 없다. 그렇게 사진과 글, 그리고 관객의 감각이 묶여 작가의 작품은 새로운 상상을 가능케 한다. 여기서 사진은 진실을 증명하거나 결정하는 게 아닌, 또 다른 서사를 확장하는 매개가 된다.
In an era where the authenticity of photographic images is increasingly uncertain, Yu delves into the role of photography itself. Through this exhibition, Yu unveils a new body of work centered on the methodologies of image interpretation. By skillfully juxtaposing photographs and text presented in a short story format, she endeavors to build connections between the visual and the textual. The understanding of these relationships is left to the unique experiences of each viewer. It is unclear whether the characters depicted in the narrative are rooted in actuality or exactly where the landscapes captured in the photographs are located. As such, the synthesis of imagery and text, alongside the perceptions of the audience, amalgamates to generate an entirely new realm of imagination. Here, photography transcends its traditional role as a mere arbiter of truth, instead serving as a conduit for expanding narrative possibilities.
제목: 2024 아르코미술관x지역문화재단 협력기획전 《여기 닿은 노래》
장소: 아르코 미술관
주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진 제공: 아르코미술관, 홍철기 촬영